
- 책 소 개
-
사진을 처음 시작하는 당신, 인상적인 한 컷을 남기고 싶은 당신을 위해 알기 쉽게 풀어 쓴 실전 중심 사진 구도 입문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직관적인 시각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들은 현대 사회의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여기서 쏟아져 나오는 이미지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바쁜 현대인들은 찰나의 순간 입맛에 맞는 것들을 취사선택한다. 시선을 사로잡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떠오른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을까? 좋은 이미지란 화려한 테크닉이 구사된 것이라기보다, 보는 사람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비주얼 스토리텔링이 잘 녹아든 이미지라 할 수 있다.
비주얼 스토리텔링은 시각적인 사진이나 영상 등의 매체를 중심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인데, 이것의 기반을 이루는 ‘구도’를 잘 조직하고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눈앞에 보이는 것들을 화면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 ‘무엇을 넣고 무엇을 뺄 것인가?’, ‘무엇을 더 강조할 것인가?’ 등을 고민하는 사이, 구도는 흘러가는 시간을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프레임 속에 탄탄한 스토리를 만들어낸다. 요컨대 말과 글을 통해 생각을 전달하듯, 사진가는 구도의 법칙을 통해 사진 속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메시지를 사진에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진을 찍을 때 구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 책에서 숙련된 미디어 아티스트인 저자는 구도를 잘 잡기 위한 지침들을 사진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 책은 총 2부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1부에서는 디지털카메라의 기본적인 메커니즘(1장), 노출 및 노출보정에 대한 지식(2장), 빛의 활용과 응용 방법(3장)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또한 2부에서는 카메라를 숙달하여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도를 잡기 위한 다양한 팁들을 풍부한 예시 사진과 함께 제시한다. 카메라 프레임의 종류, 가로 및 세로 포맷,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 3분할 법칙, 대칭ㆍ비대칭 균형, 선의 활용 등 사진의 배치를 결정짓는 요소들을 살펴보고(4장), 원근법과 전경-후경의 배치, 중첩, 광각렌즈 등을 활용해 공간의 깊이감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본다(5장). 또 대비, 명도, 색상, 형태, 질감, 집중, 분리 등 강조를 위해 선택되는 여러 요소들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6장), 패턴이나 동세, 덧셈과 뺄셈, 포지티브ㆍ네거티브 공간을 활용해 매력적인 구도를 만들어내는 방법(7장)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그리고 마지막 장(8장)에서 좋은 구도를 구성하기 위한 실전 촬영 연습 지침과 예시들을 제공한다.
이 책의 저자인 이필두 교수는 다수의 국내외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한 사진 및 멀티미디어, 디지털 영상 표현 분야의 전문가로,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 http://www.kmooc.kr)에 개설된 저자의 무료 강의인 ‘디지털 사진의 이해와 활용’을 함께 들으며 학습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했다. 하지만 사진의 세계에 이제 막 입문한 독자들을 위해 사진을 어떻게 찍어야 하는지 쉽고 친절하게, 풍부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꼭 강의를 듣지 않아도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사진을 처음 시작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이 카메라와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을 익히고, 보는 이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한 구도 및 관련 기술들을 숙달할 수 있도록 돕는 유익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 저자 소개
-
지은이 : 이필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미국 뉴욕대학교(NYU)에서 스튜디오아트를 전공했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흑백사진, 디지털사진, 디지털영상표현 등의 실습 과목을 지도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아티스트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12회의 개인전과 300여 회의 해외 초대전 및 그룹전에 참여했다.
대표 전시로는 <평창 미디어아트 프로젝트>(2018), <아키타 국제교류전>(2018), <마음의 소리를 상상하다 4인전>(2018), <이화포토전>(2018), <2017 멕시코시티 국제 기획 초대전>(2017), <그룹터 한일 교류전>(2017), <이필두 개인전: 빛으로 그리다>(2017), <2016 한·중 사진 교류전: 이필두 사진 초대전>(2016),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 살롱 드 광화문>(2016), <출35 사진전>(2016), <코엑스 아쿠아리움 초대 사진전>(2016), <201_5감도전>(2015), <2015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2015), <한국기초조형학회 시애틀 국제 기획 초대 작품전>(2015),(2014), <이필두 사진전: Horizon>(2014) 등이 있다.
- 차 례
-
들어가며: 사진과 구도
PART I. 촬영의 시작
CHAPTER 1. 카메라 메커니즘
1. 디지털카메라에서 알아야 할 필수 사항
2. 카메라 바디와 렌즈
카메라 바디
렌즈
화각CHAPTER 2. 노출의 이해
1. 노출의 3요소
조리개
셔터스피드
감도(ISO)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 수치의 이해
2. 조리개를 이용한 촬영 기법
피사계심도
팬포커스와 아웃포커스
3. 셔터스피드를 활용한 촬영 기법
4. 조리개 우선모드와 셔터 우선모드
5. 중성회색과 노출보정
카메라가 제시하는 노출값은 믿을 수 있을까
노출보정을 해보자
6. 측광의 종류
7. 색온도와 화이트밸런스
빛과 색채
빛과 색의 3원색: RGB/CMY
색온도
화이트밸런스CHAPTER 3. 빛의 이해
1. 빛의 종류와 활용
광원에 따른 빛의 종류
빛의 방향에 따른 종류
빛의 방향에 따른 표현
시간대에 따른 피사체 표현
2. 빛을 응용한 표현
실루엣 표현
질감 표현
그림자 표현
다양한 주변광 활용PART II. 사진 구도 강의실
CHAPTER 4. 사진 구도와 배치
1. 프레임의 종류와 선택
2. 가로 포맷과 세로 포맷의 선택
가로 포맷의 장점
세로 포맷의 장점
3.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에 따른 구도의 변화
카메라 기울기에 의한 변화
카메라 앵글에 의한 변화
4. 3분할 법칙
5. 선의 활용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
사선
곡선
선의 적극적 활용
6. 대칭적 균형과 비대칭적 균형
대칭적 균형
비대칭적 균형CHAPTER 5. 공간에 깊이를 주는 사진 구도
1. 원근법을 활용한 공간의 깊이감 주기
선 원근법
공기 원근법
2. 전경을 활용한 공간의 깊이감 연출
전경에 피사체 포함하기
전경 피사체를 아웃포커싱하여 주목도를 높이자
3. 중첩을 통한 공간의 깊이감 표현
4. 광각렌즈를 통한 공간의 깊이감 표현CHAPTER 6. 강조의 미학
1. 강조란 무엇인가
2. 대비에 의한 강조
형태의 크기를 활용한 대비
복잡함과 단순함의 대비
상황적인 대비
자연물과 인공물의 대비
3. 명도에 의한 강조
4. 색상에 의한 강조
채도 대비
보색 대비
5. 형태에 의한 강조
6. 질감에 의한 강조
7. 집중에 의한 강조
8. 분리에 의한 강조CHAPTER 7. 매력적인 구도
1. 패턴에 의한 화면 구성
반복적 패턴
변화적 패턴
2. 동세의 시각적 효과
빠른 셔터스피드와 순간 포착
예상되는 동세감
느린 셔터스피드와 동감 표현
장노출로 사진 표현하기
3. 덧셈과 뺄셈의 미학
뺄셈의 미학
덧셈의 미학
4. 네거티브 공간
사진에서 네거티브 공간의 중요성
시선을 유도하는 네거티브 공간CHAPTER 8. 좋은 구도를 위한 실전 촬영 연습
1. 출사지에서 촬영
2. 사과를 소재로 한 촬영
3. 반영 이미지 촬영
4. 오감의 시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