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 개
-
족보는 한 가문의 뿌리와 가지들, 즉 상하와 수평으로 연결된 혈연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사적 기록이다. 족보를 통해 종(縱)으로는 씨족의 시조에서부터 현재 자신까지 이어져 온 계보를 알 수 있고, 횡(橫)으로는 동시대를 사는 동족간의 친소 관계를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족보에 적힌 인물들의 사회적 배경, 즉 신분을 통해 부계로 연결된 동족간의 정체성을 확보한다. 족보는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신분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개개인들에게 채운 족쇄와 같은 장치였다. 그래서 피난을 떠날 경우에도 땅문서나 집문서, 종문서보다 신주와 함께 족보를 반드시 챙겼다. 족보는 과거의 기록이며, 구체적으로는 당시 인물들의 출신 지역과 사회적 배경을 담고 있기 때문에 그 신뢰도에 따라 다른 사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족보마다, 또는 같은 족보라도 발간 시기에 따라 신뢰의 수준이 다르다. 족보의 신뢰도가 얼마나 다양하고 복잡한지, 왜 그렇게 되었는지에 대한 실상과 그 원인도 알아야 하고, 가짜 족보가 존재한다면 그것을 만들게 된 배경과 동기가 무엇인지도 밝혀야 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점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독자들에게 족보를 보는 방법, 족보에서 정보를 찾는 방법, 족보를 통해 우리 역사를 읽는 방법을 소개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족보에 대해 일반인들이 알기 쉽게 설명한 책으로는 최초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한 가문의 고리타분한 유물 정도로만 여겼던 족보가 당시의 시대상을 생생하게 반영하는 훌륭한 문화유산이라는 사실을 새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 책 내용이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 <족보란 무엇인가>에서는 족보의 정의, 즉 족보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데, 족보는 어떻게 출현하였으며 족보의 기능은 무엇인지를 다루고 있다. 2장 <족보의 역사>에서는 성씨와 본관이 발생한 과정, 왕실 족보의 출현과 양반과 중인 족보, 신분 차별이 제도적으로 없어진 일제강점기 이후 평민이나 천민들의 족보 간행 열기와 창씨개명 등의 내용을 다루면서 족보의 역사를 살피고 있다. 3장 <족보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에서는 족보의 종류와 족보의 구성, 족보의 제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이와 더불어 가짜 족보가 만들어질 수밖에 없었던 사회상을 언급하고 있다. 4장 <족보의 실제>에서는 개인들이 족보를 통해 자기 선대를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그 방법을 일러주고, 외국 족보의 사례와 사진 족보나 영상 족보같이 시대에 맞게 변화하는 현대적인 족보를 예로 들고 있다.
- 저자 소개
-
지은이 : 정승모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
태동고전연구소 수학
국공립박물관 근무
역사문화학회, 진단학회 이사
현재 지역문화연구소 소장
저서
『시장의 사회사』(1992)
『한국의 세시풍속』(2001)
『한국의 전통사회: 시장』(2008)
『동국세시기』(역)(2009)
『조선후기 지역사회구조 연구』(2010)
공저
『조선시기 사회사연구법』(1993)
『서울의 사회풍속사』(1995)
『조선시대 생활사』(1996)
『하회마을』(2007)
『한국인의 생사관』(2008)
논문
「농촌 정기시장체계와 농민 지역사회구조」(1983)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변동과 농민조직」(1991)
「동족촌락의 형성배경」(1993)
「군현제의와 국가정책」(2000)
「경저·향제·별서와 조선후기문화의 지역성」(2003)
「18·19세기 농민층 분화와 향촌중인」(2005)
「조선후기 문중형성과 문중계 운영방식」(2006)
「조선후기 시전정책의 경제사상적 배경」(2007)
- 차 례
-
책머리에
1. 족보란 무엇인가
혈연의 사회적 의미
족보의 출현
족보의 기능2. 족보의 역사
성씨와 본관의 발생
왕족의 족보
양반과 중인의 족보
족보 속의 평민과 천민
일제의 창씨개명과 족보3. 족보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족보의 종류
족보의 구성
족보의 제작과정
족보 기록의 허와 실4. 족보의 실제
족보에서 찾는 집안의 과거사
족보와 사회상
족보를 보는 방법
외국의 족보
현대인의 족보관련 용어
찾아보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