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 개
-
<우리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The Spirit of Korean Cultural Roots> 시리즈 27번째 책인 『한국의 전통 회화』의 영어판으로, 한국 전통 회화의 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살펴본 책이다. 한국 회화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는 선사시대의 암각화에서 지금의 ‘한국화’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유행했던 회화의 사조적 · 양식적 특징을 사회적 배경과 연관해 설명함으로써 한국 회화가 어떻게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이 책에서는 암각화와 벽화를 비롯해 불화와 무속화 등의 종교화, 궁중 장식화와 민화, 각종 행사도나 계회도와 같은 기록화, 인물화와 풍속화, 산수화 그리고 화조화 등 다양한 갈래로 이루어진 한국 회화의 면면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또한 서구방, 정선, 김홍도, 장승업, 박래현 등 각 시대와 장르를 대표하는 주요 작가들을 소개하고, 한국 회화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다양한 작품들을 수록함으로써 한국 회화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동안 한국의 전통 회화는 식민주의와 반식민주의, 내셔널리즘과 모더니즘과 같은 근대적 혹은 서구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타자화되어 기술된 측면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저자는 이 책에서 기존의 서구 모형의 내재적 발전론에서 벗어나 한국 회화를 통사적으로 체계화하려는 시도를 새롭게 하고 있다.
Traditional Korean Painting, the 27th book in The Spirit of Korean Cultural Roots series, explores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In doing so, it gives an overview of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Korean painting through the ages, from prehistoric to modern times, by looking at the major trends and the philosophic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iod.As such, this book does not just focus on a few genres but covers the whole spectrum, including prehistoric rock carvings, ancient tomb murals, Buddhist painting, shamanic painting, folk painting, court painting, portraits, genre paintings, landscapes and bird-and-flower paintings. The works of Korea's major artists such as Seo Gu-bang, Jeong Seon, Kim Hong-do, Jang Seung-eop and Park Rae-hyeon are introduced in detail to promote greater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This book was written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raditional Korean painting has often been written about and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through modern or Western ideologies such as colonialism, anti-colonialism, nationalism and modernism. Moving away from the development theory inherent in the Western model, the author takes a critical perspective and attempts a new historical system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 저자 소개
-
지은이 : 홍선표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회화사 전공.
일본 규슈대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근세 한일회화교류사 연구’로 문학 박사학위 취득.
일본 문부성 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 특별 초청 연구원.
문화재위원,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 한국근대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등 역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소장,
『미술사논단』편집인.
1979년 이래 250여 편의 논고를 통해 한국 전통 회화와 근대 회화의 통시성과 동아시아 회화와의 관계성을 연구해 오고 있다.
저서
『조선시대 회화사론』(문예출판사, 1999. 월간미술 학술대상,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고대 동아시아의 말그림』(마문화연구총서 4, 한국마사회, 2001)
『한국근대미술사』(시공사, 2009)
옮긴이 : 조윤정 · 박현주
.
- 차 례
-
Preface
I. Prehistoric Painting
Petroglyphs, the Origin of Korean Painting
Craft Designs of the Bronze AgeII. Painting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Goguryeo Tomb Murals: Changes and Implications
Painting of the Unified Silla PeriodIII. Painting of the Goryeo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Buddhist Painting
The Emergence of Painting for Appreciation
New Trends after the Mid-Goryeo PeriodIV. Painting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i View of Painting and the Establishment of Painting and Calligraphy
as a Hobby
Classical Landscapes and Realistic Landscapes
New Developments in Portraiture
The Popularity of Bird-and-Flower PaintingV. Painting of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Appreciation of Art and Changing Attitudes towar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ainting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The Rise of True-View Landscapes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Court Painting
The Mood of Good Fortune and Extravagance: Boom in Folk Painting
New Tastes in Flower PaintingVI. Traditional Painting in the Modern Era
The Dominance of the Owon Style
The Birth of “Eastern Painting”
The Revival of “Korean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