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 개
-
프란츠 푀히하커의『통역학 입문』(원제: Introducing Interpreting Studies)은 통역의 이론과 실무에 관해 총괄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연구서로서 통역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필독서로 꼽히는 책이다.
이 책은 통역학을 다수의 상이한 분야로 나누던 기존의 유형학적 분류가 아닌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통역학에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통역에 대해 그 지류를 모두 어우르며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통역학 입문』은 ‘통역학의 지도’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대부분의 통역에 관한 연구가 국제회의나 미디어 통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것과는 달리 이 책에서는 통역학의 영역에 커뮤니티 통역과 수화 통역을 포함시킴으로써 저자가 염원하는 ‘다양성 속의 통일성unity in diversity'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통역학 입문』은 단순히 통역의 개념이나 유형, 연구 방법 등의 이론만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교과 과정과 교수법 등 교육의 측면과, 통역사의 지위, 자질, 작업 환경 등 직업과 관련된 실무적인 측면에서 통역에 관해 고찰한다. 뿐만 아니라 통역 연구가 과거와 현재에 부딪쳤던 도전 과제와 장래 나아갈 여러 방향을 살펴보면서, 통역 연구 지망생들에게 이 학문에 입문하고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까지 제시하고 있다.
특히 널리 인용되는 ‘고전’과 혁신적인 최신 문헌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참고 문헌과, 통역번역 관련 저널 및 연구 그룹, 전문통역사 협회와 학회 등의 주소를 실은 인터넷 링크 목록, 그리고 통역학 연구에 몸담고 있는 개별 연구자와 그들의 연구 및 주요 개념에 관한 용어들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는 찾아보기는 통역학을 연구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명실 공히 통역학의 진정한 입문서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은 통역학을 공부하는 학생, 연구에 관심이 있는 교사와 전문 통역사들에게 통역에 대한 폭넓고 접근성 있는 개요를 제공할 뿐 아니라 통역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안내해주는 나침반의 역할을 할 것이다.
▣ 책 내용
이 책은 총 3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통역학의 종합적인 표상을 보여주는 다섯 개의 장으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1장에서는 통역학의 연구 대상으로서 통역의 기본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통역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백과사전식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일관성 있는 유형적 틀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2장은 학문으로서의 통역, 그 역사적 ‘진화’에 대해 기술한다. 즉 통역에 관한 연구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관해 조명하고 통역학의 사회학적 측면과 학문적 틀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통역에 대한 이론적 ․ 학문적 ․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고찰하며, 4장은 ‘패러다임’의 개념을 사용해서 통역학계에 등장했던 다양한 연구 모델을 추적해보고 그들의 위치 및 상호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5장에서는 통역의 여러 모델과 관련된 이론적 틀을 발전시킨다.
<
- 저자 소개
-
지은이 : 프란츠 푀히하커
독일 튀빙겐 대학에서 동시통역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오스트리아 빈 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회의 통역사와 미디어 통역사로 활동하고 있다.
『통역학 입문Introducing Interpreting Studies』의 저자이며『통역학 대표 논문집Interpreting Studies Reader』을 공동 편집했고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통역 저널인『인터프리팅: 국제연구저널과 통역실무Interpre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in Interpreting』의 편집위원을 담당하고 있다.
통역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를 잡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국제회의 통역뿐 아니라 의료 보건과 법률, 망명자 통역 등 통역 전반에 대해 연구하고 관심을 가짐으로써 통역학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재정의하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
엮은이 : 이연향 · 한미선 · 오미형
이연향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통역학 석사를, 스위스 제네바 통역번역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통번역사협회KATI 창립 이사이며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부원장 및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시통역 경력 20년의 베테랑으로 G20 런던 정상회의(2009년 4월),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방한 회담(2009년 2월), 부시대통령 방한 정상회담(2008년 8월), 2008년 베이징 올림픽(2008년 8월), 이명박-부시 대통령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2008년 4월) 등 주요 국제회의 및 회담에서 통역사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역서로는『번역용어집』(2005) 등이 있다.
한미선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영번역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오미형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영통역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 차 례
-
한국의 독자들에게
옮긴이의 말
감사의 말
서론제1부 토 대
제1장 개념
1.1 개념의 뿌리
1.2 통역의 정의
1.3 환경과 성상도
1.4 유형학적 변수
1.5 영역과 차원
제2장 진화
2.1 사회적-전문적 기반
2.2 통역 전문가와 심리학자의 탄생
2.3 학문적 토대
2.4 재탄생과 새로운 시작
2.5 융합과 통합
2.6 21세기의 통역학
제3장 접근법
3.1 학제적 관점
3.2 통역의 밈
3.3 방법론
제4장 패러다임
4.1 ‘패러다임’이란?
4.2 패러다임 세우기
4.3 통역과 실험
4.4 과학을 향한 염원
4.5 시야 넓히기
4.6 상호작용
4.7 다양성 속의 통일성
제5장 모델
5.1 모델링
5.2 사회직무적 · 제도적 모델
5.3 상호작용 모델
5.4 프로세싱 모델
5.5 모델, 검증 및 적용제2부 주제와 연구
제6장 프로세스
6.1 이중 언어 사용
6.2 동시성
6.3 이해
6.4 기억
6.5 산출
6.6 입력 변수
6.7 전략
제7장 통역 산출물과 수행
7.1 담화
7.2 출발어-도착어 대응
7.3 효과
7.4 역할
7.5 품질
제8장 통역 실무와 직업
8.1 통역의 역사
8.2 작업 환경
8.3 기준
8.4 전문 역량
8.5 테크놀로지
8.6 환경
8.7 사회학
제9장 교육
9.1 교과 과정
9.2 선발
9.3 교수법
9.4 평가
9.5 메타 교육제3부 방향
제10장 통역학의 방향
10.1 시대적 경향
10.2 시각의 틀
10.3 연구 방향의 설정그림 목록
참고 문헌
인터넷 링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