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 개
-
고대 중국부터 중세 유럽과 근대 일본을 거쳐 식민지 조선까지,
개인의 일상에서 국가정책에 이르는 질병 관리에 대한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전 세계를 강타한 팬데믹의 여파는 사람들의 일상 곳곳에 침투하여 생활상을 바꾸어놓았고, 국제 정세와 경제적·사회문화적 지형까지 뒤흔들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대두된 치명적인 전염병 이슈는 비단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불치, 혹은 난치로 규정된 숱한 질병의 팽배 속에 그것의 예방과 치료, 건강관리에 관한 논제는 그간 역사적 장면들 곳곳에서 일상적인 실천이나 제도의 형태로 변화무쌍하게 변주되어왔다. 때로는 미신이나 관습에 기대어, 때로는 의약학적 정보와 지식의 축적을 통해, 혹은 더욱 강력한 국가 차원의 체제 공고화를 통해 인류는 기나긴 질병과의 사투의 역사를 써 내려온 것이다.
20세기 이후 의료사 연구는 유럽과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특정 지역과 시대에 이루어진 질병 관리의 역사를 재구성하여 전근대와 근대를, 또 동양과 서양을 비교분석하는 연구는 크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이화사학연구소 ‘질병과 국가’ 연구사업팀은 역사 속의 개인과 국가가 질병을 어떻게 관리하고 그것에 대응해왔는지 동서양을 넘나들며 비교분석을 시도하는 ‘이화의료사총서’를 기획했다. 이 책은 그 첫 번째 결과물로서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국가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 역사 속 질병 관리의 생생한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근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흑사병, 한센병 등의 전염병과 상한 및 종기 등 내외과적 질환, 정신질환, 여성 질환, 불임 등에 대해 인류가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살펴보고, 의학과 건강 이슈에서 소외되어온 아동, 여성, 노동자, 전후 패전국 귀환자들의 보건·위생 문제까지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시대와 지역의 개별 연구들을 비교분석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며 시대별·국가별로 질병에 대한 인식 및 대응이 어떻게 달랐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분투한 과거의 체험과 교훈을 통해 이상적인 질병 관리 모델의 해법 역시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책 내용
이 책은 총 3부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서로 다른 경로로 축적·유입된 의학 지식이 어떤 경합과 변용의 과정을 거쳐 일상의 질병 관리에 활용되었는지 살펴본다. 1장은 당귀라는 약재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와 유럽 등지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그 변화상을 추적하고, 당귀가 ‘여성’의 질병 관리에 선택적으로 활용된 양상을 복원한다. 2장은 12세기 말경 편찬된 서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이루어진 의학 지식의 축적과 확산의 모습을 중국 송대 민중들의 질병 관리의 모습을 통해 확인한다. 3장은 19세기 서양 의학의 수용에 따른 뇌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이에 따른 뇌질환의 등장과 뇌병 신약의 발매 양상, 그리고 약의 효능에 대한 이해의 변화상을 추적하여 근대 일본 사회가 보여준 뇌 질병 관리의 한 단면을 살펴본다.
2부에서는 개인의 질병 경험과 치료, 그리고 사회 각 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삶과 생활을 둘러싸고 나타난 질병 관리의 여러 모습을 담아낸다. 4장은 중세 말 이탈리아에서의 불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를 검토함으로써 한 상인의 아내가 보여준 ‘질병’ 관리의 구체적 단면을 읽는다면, 5장은 중세 말 파리대학의 의학자들이 제시한 흑사병 예방법을 분석하여 의학적 처방이 개인(귀족)의 생활에 대한 도덕적인 규율화를 내포한 담론 권력으로 확장되는 양상을 읽어내어 중세 말에 나타난 질병 관리의 다양한 모습을 짚어본다. 또 6장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한국에서 생활한 미국인 의료선교사의 육아일기에 나타난, 의료선교사 자녀의 건강관리 및 질병과 죽음의 경험을 복원하여 서양의 소아과의학 및 과학적 육아 방식이 일상의 ‘아동’ 건강관리에 어떤 양상으로 구현되었는지 확인한다.
3부에서는 한센병 환자, 노동자, 전후 패전국 귀환자를 중심으로 국가 또는 사회가 어떻게 질병을 관리했는지, 그리고 당사자들은 이를 어떻게 경험했는지 식민지 조선과 일본 제국의 사례로 나누어 살핀다. 7장에서는 일본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 이식된 근대 한센병 관리 정책과 이로 인해 변화한 조선 사회를 한센병 환자가 어떻게 겪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한다. 8장은 조선총독부 체신국 종업원의 건강 상태와 이들에 대한 질병 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식민지기 노동력의 보전과 노사 관계의 안정화를 위해 조선총독부가 취한 질병 관리의 양상을 설명한다. 9장은 패전국 일본에서 미군에 의해 실시된 귀환자 검역이라는 질병 관리 정책이, 일본이 단일민족 국가로 재건되는 데 필요한 절차였음을, 또 냉전체제 형성기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질서가 극동지역에서 구축된 실상을 반영했음을 알아본다.
- 저자 소개
-
지은이 : 최해별ㆍ김영수ㆍ김재형ㆍ김정란ㆍ남종국ㆍ리전더ㆍ이현주ㆍ임채성ㆍ홍용진
최해별 |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중국중세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당송 시기의 법제사, 여성사, 의료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영수 |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일본근대사(동아시아의학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연구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한국과 일본의 의료사회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재형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식민지기 한센인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의 의료사회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정란 | 일본 고베대학교에서 근대동아시아의학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역사분과의 Oxford Centre for History of Science, Medicine and Technology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20세기 동서양의 질병사 및 의료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남종국 | 프랑스 파리 제1대학교에서 서양중세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탈리아 상인들, 몽골 평화시대 동서교류사, 중세 유럽의 의료사회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리전더 |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중국중세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歷史語言硏究所)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중국 중세 여성사, 법제사, 의료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현주 | 미국 인디애나대학교(블루밍턴)에서 미국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지구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의학사와 과학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임채성 |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경제학(경제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일본 릿쿄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 경제사와 의료 사회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홍용진 | 프랑스 파리 제1대학교에서 서양중세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세 서유럽의 정치문화사, 도시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차 례
-
머리말
1부. 의약 지식의 확산과 일상의 질병 관리
1장. 여성의 필수 약재: 경계를 넘나드는 다우기의 세계사
1. 중국 이야기: 전통적인 진통제에서 여성의 필수 약재로
2. 동아시아의 경험: 젠더화된 활용이 흐릿하게 나타난 향약
3. 현대 유럽: 생의학에서 생산된 월경 조절 약
2장. 송대 『이견지』와 일상 속 의학 지식의 확산
1. 일상의 주요 질병: 중독, 종기, 기생충 질환, 설사
2. 의학 지식의 변용과 의서의 한계 극복
3. 임상 서사의 중시와 오진에 대한 경계
4. 일상에서 온, 일상에 필요한 의학 지식
3장. 메이지기 근대적 의약 담론의 성립과 ‘뇌병’의 치료
1. 18~19세기 일본의 서양 의학 수용과 ‘뇌’ 담론의 성립
2. 뇌질환의 등장과 치료제
3. 근대의학의 발전과 뇌병 매약의 변화
2부. 개인의 ‘질병’ 경험과 건강관리
4장. 중세 말 이탈리아에서의 불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
1. 불임에 대한 교회의 인식
2. 불임에 대한 이탈리아 도시민의 인식
3. 불임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
5장. 중세 말 파리대학의 흑사병 예방법: 치료와 훈육 사이
1. 프랑스에서 집필된 흑사병 보고서들
2. 『전염병 개요』의 구성과 내용
3. 『전염병 개요』의 정치적·사회적 의미
6장. 의료선교사 자녀의 건강, 질병, 그리고 죽음:
로제타 S. 홀의 육아일기를 중심으로
1. 홀 가문의 한국 선교
2. 역사 사료로서의 홀 여사의 육아일기
3. 선교 여정과 아동 건강
4. 아동의 성장 발달과 건강관리
5. 선교지에서의 질병과 죽음의 경험
3부. 국가의 질병 관리와 통제
7장. 식민지기 한센병 환자를 둘러싼 죽음과 생존
1. 한센병으로 인한 가족 관계의 해체: 자살과 살해
2. 생존을 위한 노력과 죽음: 인육 섭취
3. 한센병 환자의 조직화와 한센병 시설에서의 죽음
8장. 식민지 조선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조선총독부 체신국의 사례 검증
1. 체신업의 전개와 노동력 구성의 변용
2. 체신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3. 체신당국의 대책: 공제조합과 촉탁의 그리고 체육
9장. 제국의 흔적 지우기: 패전 후 일본에서의 귀환자 검역
1. 제국의 붕괴
2. 귀환자 검역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