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소 개
-
건강과학이란 지역사회의 조직화된 활동을 통해 건강수명의 연장과 개인이나 집단 또는 지역 간의 건강 격차를 해소하고, 신체적․정신적인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과학이다. 최근 들어 개인의 건강,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개인 차원의 바른 건강습관의 형성뿐 아니라 국가 차원의 보건정책 및 지역사회 활동을 통한 보건사업 시행 또한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 책은 간호, 운동, 영양, 보건관리의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건강과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건강의 개념, 우리나라 보건정책 등 건강과학의 기초적인 사항을 소개했고, 2부에서는 건강과학의 접근 방향을 간호, 보건관리, 식생활, 운동 측면에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생애주기별 연령 단계를 네 단계로 나누어, 각 연령 단계별 건강관리를 신체 발달 특성, 건강 이슈, 식생활과 영양관리, 신체 활동과 운동관리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다루었다.
새로운 다학제적 ․ 통합적 접근을 시도해본 이 책이 처음으로 건강과학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기초적인 정보 길라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소개
-
지은이 : 김명 외
김명
이화여대 건강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석사, 일본 쓰쿠바대학에서 교육학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화여대 보건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건강관리협회이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보건교육의 이론과 적용』(2001), 『노인보건의 이론과 실제』(2004), 『학교보건교육의 이해와 적용』(2007) 등이 있다.
김옥수
이화여대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간호학 석사학위를, 미국 네브라스카대학교에서 간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화여대 간호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간호과학부 학부장과 간호과학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성인간호학』(2002), 『건강사정』(2002), 『노인과 건강』(2006), 『노인질환관리』(2006) 등이 있다.
조미숙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이학 석사 ․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단체급식』(2007), 『영양생리학』(2000),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1998) 등이 있다.
홍양자
이화여대 체육학과와 일본여자체육대학 체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피바디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및 교육전문가학위(Ed.S.), 한양대학교에서 체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화여대 체육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대한올림픽위원회 부위원장과 국제대학스포츠위원회 학술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현대 사회의 건강과 운동』(1996), 『장애인을 위한 특수체육』(2000), 역서로는 『수중운동』(2002) 등이 있다.
- 차 례
-
머리말
제1부 건강과학의 기초
제1장 건강과학 개론
1. 건강과학이란 무엇인가?
2. 건강의 개념 및 역사
제2장 건강과학과 보건정책
1. 한국인의 질병과 사망 원인
2. 우리나라의 보건정책 및 건강 증진사업제2부 건강과학의 접근 방향
제3장 간호와 건강과학
1. 간호란 무엇인가?
2. 간호과학의 영역과 역사
제4장 보건관리와 건강과학
1. 보건관리
2. 보건교육의 이해
제5장 식생활과 건강과학
1. 식생활, 음식문화와 건강과학
2. 한국 음식의 건강과학성
3. 한국인의 영양과 관련된 건강 문제
제6장 운동과 건강과학
1. 운동과 건강미
2. 운동의 목적
3. 운동의 효과
4. 운동 처방의 구성제3부 통합적 접근을 통한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제7장 임신·수유기 및 영·유아기의 건강관리
1. 임신·수유기 및 영·유아기의 발달 특성
2. 임신·수유기 및 영·유아기의 건강 이슈
3. 임신·수유기 및 영·유아기의 식생활과 영양관리
4. 임신·수유기 및 영·유아기의 신체 활동과 운동관리
제8장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건강관리
1.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2.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건강 이슈
3.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식생활과 영양관리
4.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신체 활동과 운동관리
제9장 성인기의 건강관리
1. 성인기의 발달 특성
2. 성인기의 건강 이슈
3. 성인기의 식생활과 영양관리
4. 성인기의 신체 활동과 운동관리
제10장 노년기의 건강관리
1. 노년기의 발달 특성
2. 노년기의 건강 이슈
3. 노년기의 식생활과 영양관리
4. 노년기의 신체 활동과 운동관리